1. 클라우드의 출현
AWS 라고 불리우는 아마존 클라우드는 아마존 책 판매 서비스를 하며 주말에 사람들이 최대로 접속하는 인프라 환경을 구축하였는데 평일에 남는 자원을 활용하고자 클라우드 서비스를 2006년도에 시작하면서 성공적으로 자리 매김하면서 IaaS ( 인프라 서비스 )로 클라우드 시스템이라는 용어와 함께 등장 하였다.
아마존의 모든 서비스는 서비스별로 과금 정책을 갖고 있으며, 대부분 CPU, 메모리, 트래픽, 스토리지 용량 등의 자원에 대해 사용한 만큼 부과한다.
DevPay : 결제 지원 서비스로서 외부 개발자나 개발 회사가 AWS의 자원을 이용해 또 다른 인프라 서비스나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만들어 제공하면서 해당 서비스의 사용자에게 과금을 부과할 수 있는 서비스다.
개발 , 배포 등은 개발자나 시스템 운영자가 직접 설치, 배포해야 하는 것이 인프라 서비스라고 한다.
구글 클라우드(PaaS-플랫폼 서비스)는 2000년대초 IT 버블이 꺼지던 시기에 정상급으로 자리 매김한 검색 사이트 야후를 제치며 1위를 차지 했는데 초기 개발당시 장비가 창업자 둘의 개인 PC 및 대학교 교수 및 기타 장비를 빌려서 했다고 한다. 이러한 중구난방식의 정돈되지 않은 원격으로 구성되어 있는 불안전한 환경에서, 그들은 당연히 서버가 다운되고 중지 될테니 그에 따른 소프트웨어 대비를 하고자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에 몰두하여 유료 서비스인 unix 말고 저가인 linux 서버를 대량으로 투입하여 서버 다운시에 대한 대비를 했다. 그리하여 구글의 성공적인 클라우드 시스템이 시작되었고 전 세계 100만대 가량의 서버가 있다고 한다.
개발 환경 제공과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서버에 배포하고 운영하는 것을 모두 책임지는 것이 플랫폼 서비스다.
그러나 프로그램에서 파일을 생성하거나 삭제하는 등과 같은 파일 연산은 제한돼 있고, 소켓, 스레드 등과 같이 시스템의 자원을 사용하는 연산도 사용할 수 없다...
구글 앱엔진은 3, 4, 5, 6 번 항목을 지원하며, 별도의 서버 구매, 필요한 소프트웨어 설치 과정 없이 개발된 코드를 바로 배포해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다.
1. 로컬 환경에서 아파치 웹서버, 톰캣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PHP 등을 이용해 개발한다.
2.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도 로컬에 설치하거나 원격 개발 서버에 설치해 개발 시 사용한다.
3. 로컬 환경에서 테스트가 완료됐으면 서비스 오픈을 위해 도메인을 확보하고 호스팅 업체를 통해 서버 호스팅을 구매하거나 웹 호스팅 서비스를 신청한다.
4. 테스트한 프로그램을 구매한 서버나 웹 호스팅 계정으로 업로드하고, 웹서버, 애플리케이션 서버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설치한다.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면 데이터베이스 서버도 구매해 설치한다.
5. DNS 서버에 도메인과 호스트의 IP 정보를 연결해 서비스를 오픈한다.
6. 오픈 후 서비스의 사용량 등을 모니터링하며 사용량이 증가하면 서버를 추가 구매하고 구매된 서버의 로드밸러스를 설정한다.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규식 관련 (0) | 2021.09.02 |
---|---|
spring boot에 관하여 (0) | 2021.09.01 |
Cassandra 란 (0) | 2021.08.30 |
hazelcast 란 (0) | 2021.08.28 |
spring 개념 (0) | 2021.08.14 |
댓글